'이왕이면' vs '기왕이면' 차이
'이왕이면'과 '기왕이면'.
이 표현에서 다른 글자는 유일하게 첫 글자 '이'와 '기'입니다.
'이'는 ‘이미 이(已)’자이고,
'기'는 ‘이미 기(旣)’자라 동일한 단어 같지만
이 둘은 상황에 따라 약간은 다르게 쓰이죠.
☑️ 이왕이면
(已往 : 이미 이, 갈 왕)
ㆍ의미 : 어차피 그렇게 할 바에는
현시점부터 미래의 상황을 나타낼 때 '이왕이면'을 사용.
예문)
- 이왕이면 친환경 제품을 이용해 보세요.
- 이왕이면 지역 특산물을 이용합시다.
- 이왕이면 마음에 드는 것으로 고르십시오.
- 이왕이면 다홍치마.
- 목돈 들어도 이왕이면 넓은 집으로 이사하자.
- 이왕이면 더 큰 차를 사자.
- 이왕이면 1등을 목표로 하는 게 어때?
☑️ 기왕이면
(旣往 : 이미 기, 갈 왕)
ㆍ의미 : 어차피 그렇게 된 바에는
이미 지난 시점부터 미래의 상황을 나타낼 때 '기왕이면'을 사용.
예문)
- 휴가를 근사하게 보내기로 했으니 기왕이면 제주도보다 동남아로 가는 것도 좋을 텐데.
- 기왕이면 싼 음식으로 주문하지.
기왕 여기 왔으니 이왕이면 맛난 거 먹자!
다른 맞춤법과 다르게
'이왕이면'과 '기왕이면'은 크게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는 거라
거의 의미가 동일하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굳이 다르게 쓰고 싶다면,
🔊 '이왕이면'
= 현재 그렇게 되어있지는 않았으나
앞으로 그렇게 할 상태에서의 선택
🔊 '기왕이면'
= 현재 그렇게 된 상태에서 선택
이 정도로 알고 계심 될 것 같네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다음 포스팅으로 추천해요!
틀리기 쉬운 맞춤법 다행이vs다행히 쉽게 구분하기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다행히'가 맞습니다. 하지만 이렇게만 기억해 놓으면 또 까먹기 쉽죠~~~ 그래서 '다행히'와 관련된 맞춤법을 포스팅해볼게요 😊 ✔️ 다행 多幸 - 파생어 : 다행히, 다행
worldnews.tistory.com
한글 사랑 국어 접속사 정리
그리고 게다가 더욱이 아울러 뿐만 아니라 동시에 그러면서 어쩌면 실은 이처럼 이는 이와 같이 바로 바야흐로 그나저나 또는 이같이 아니면 그러자 하물며 더구나 아무튼 다시 말하면 곧 ex) 가
worldnews.tistory.com
맞춤법 ‘채택’ VS ‘체택’
’채택‘과 ’체택‘의 맞춤법이 헷갈리셨군요? 결론부터 적자면 ‘채택’이 맞습니다. ’체택‘이라는 단어는 아예 없는 단어라는 것. 이를 쉽게 외우기 위해선 단순히 한자 캘 채(採)를 생각
worldnews.tistory.com
놀러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