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과 달리
엑셀은 다수의 엑셀을 아무리 불러온다 한들
모니터 화면에 1개의 엑셀 파일만 띄워집니다.
그래서 파일을 비교해서 봐야 할 때마다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니죠ㅡ.ㅡ
참다 참다 '엑셀 파일 2개 따로'로 찾아보니 방법이 있는 게 아니겠습니까?
적용하고 나니 왜 진작 안 했나 할 정도로 신세계네요~~~
그럼 그 방법 공유해드리겠습니다 : )
고고!
1) SHIFT키 사용
가장 쉬운 방법은
SHIFT키를 누른 채 작업표시줄에 있는 엑셀 아이콘을 클릭해서 새창을 여는 것입니다.
2)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데이터값 변경
① 키보드에서 윈도우키+R키를 함께 누른 다음
실행창에서 regedit라고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② 경고창이 나타나는 경우 그냥 '예'를 클릭해주세요.
③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이 나타나면
컴퓨터 > HKEY_CLASSES_ROOT > Excel.sheet.12 > shell > open > ddeexec 경로로 이동합니다.
④ ddeexec 폴더를 마우스 우클릭 후 '삭제'를 누릅니다.
⑤ command 파일에 들어갑니다.
그런 다음 우측에 있는 command를 삭제합니다.
반드시 우측 창의 command를 지워주세요!!! 왼쪽이 아니라!!!
⑥ 그런 다음 바로 위에 있는 (기본값) 파일을 우클릭해서 '수정'을 클릭합니다.
⑦ "C:\Program Files (x86)\Microsoft Office\Office12\EXCEL.EXE" /e 라는 값 데이터에서
e만 지워주고,
⑧ en "%1"을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참고로 빗금 바로 뒤에 바로 en을 써주고 한 칸 띈 후에 "%1" 따옴표까지 입력해야 합니다.
"C:\Program Files (x86)\Microsoft Office\Office12\EXCEL.EXE" /en "%1"
그럼 이제 엑셀 파일들을 열어보면
각각의 창이 뜨는 걸 확인하실 수 있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