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산소 개장 후 적는 파묘 절차와 준비물 - HOT 뉴스 팩트 체크

실제 산소 개장 후 적는 파묘 절차와 준비물

반응형

 

✔️ 파묘 날짜 잡기

윤달이 있는 해

: 2023년은 윤달이 있는 해이지만
점집(철학관)에 가서
파묘 당시 산소에 갈 고인의 직계 가족 사주를 넣고
윤달에서도 좋은 날짜를 미리 몇 개 받아옴.

※ 2023년 삼재인 쥐띠, 용띠, 원숭이띠는
될 수 있으면 파묘 현장에 가지 않는 걸 추천함.




✔️ 파묘 준비물

1) 개장신고서류(산소 소재지인 읍, 면, 동사무소에서 발급 가능)
2) 작업인부 간식(ex. 물, 빵, 우유)
3) 작업인부 식사값 : 2인 기준 5만 원 드림.
4) 묘제 음식 준비 : 간단하게 북어포와 소주 준비함.

※ 박스, 한지
: 주위에서 박스, 한지 외에 비닐, 휴지까지 챙겨라 하셨는데,
파묘 당시 박스, 한지만 사용했고,
이마저도 파묘 작업하시는 분들이 가지고 와주셨음.




✔️ 파묘 절차

1. 산소 개장 전 마지막 산소 모습 기념으로 촬영함.
2. 준비해간 북어포, 소주 등을 준비한 후 파묘제를 간단하게 지냄.

※ 파묘제 순서
1) 합동으로 2번 절하기

2-1) (집사)가 (제주)에게 잔을 준다.
2-2) (집사)가 술을 조금 따른다.
2-3) (제주)가 묘지 앞 흙 위에 술잔을 세 번 나누어 붓는다.
2-4) (집사)에게 잔 건네고, (제주)만 2번 절한다.

3-1) (집사)가 (제주)에게 잔을 주고 (집사)가 가득 따른다.
3-2) (제주)는 술잔을 세 번 돌리고
묘지 앞 흙 위에 세 번 나누어 부은 다음 (집사)에게 준다.
3-3) (집사) 술잔을 묘 앞에 두고, 젓가락을 명태포 위에 올린다.
3-4) (제주) 2번 절한다.

4-1) (집사)가 (고인과 가까운 사람1)에게 잔을 주고 (집사)가 가득 따른다.
4-2) (고인과 가까운 사람1)은 술잔을 세 번 돌리고 (집사)에게 준다.
4-3) (고인과 가까운 사람1) 2번 절한다.

5-1) (집사)가 (고인과 가까운 사람2)에게 잔을 주고 (집사)가 7부쯤 따른다.
5-2) (고인과 가까운 사람2)는 술잔을 세 번 돌리고 (집사)에게 준다.
5-3) (고인과 가까운 사람2) 2번 절한다.
5-4) (집사) 남은 술잔에 첨잔한다.

6) 합동으로 2번 절한다.

7) 제사 때 쓴 음식은 산소에 묻고 온다.

3. 첫 삽은 고인과 가까운 사람이 뜸.

그런 다음 작업인부들이 고인을 위해 “놀라지 마세요~”라고 외치며
산소 몽우리를 삽으로 텅! 내려침.

4. 원래는 개장하는데 일반적으로 40분 정도 소요되는데,
멧돼지가 밟아놓은 바람에 흙이 다져져서
윗부분 파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개장까지 1시간 20분 정도 소요됨.

추가적으로 기존분묘 평탄작업까지 해서 1시간 30분 정도 걸린 듯함.

참고로 파묘 비용은 부르는 게 값이며
알아볼 때 포크레인까지 동원해야 한다는 업체도 있었는데,
실제로 보니 사람 2명이서 삽으로만 해도 충분했음.


그나저나 우리 산소가 20년이 지났긴 했지만 석관을 해놔서
백골화가 안 되었을 수도 있다고 많이들 말씀하셔서 걱정하였으나
흙이 좋아 백골화는 모두 진행된 상태였음.

알아본 바에 의하면
석관을 해놓고, 물줄기까지 흐르게 되면 수십 년이 지나도
시체가 그대로인 경우가 허다하다고 함.
만약 백골화가 안 되어 있을 경우엔
추가적으로 관이 필요하고,
윤달이 아닐 경우 절차가 다소 복잡해진다고 함.

5. 석관이 있으면
백골화가 제대로 안 되어 있을 수도 있다는 주위 말에
석관 한 것을 살짝 후회했었으나
오히려 석관 때문에 유골을 하나도 빠짐없이 수습하기에 좋았음.

고인의 발가락뼈, 손가락 뼈 하나하나까지
모두 유실되지 않고 꼼꼼하게 모셔서 기분 VERY GOOD❤️

참고로 파묘 비용은 대략 1,100,000원이었습니다.




✔️ 파묘 후 화장

1. 화장터는 오는 순대로 진행되기 때문에
늦게 도착하게 되면 하루 연장해서 안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음.
그러니 무조건 12시 안까지는 화장터에 도착하는 걸 추천함.

2. 화장이 끝나면 유골함을 바로 받게 되는데, 굉장히 뜨거우니 주의바람.




✔️ 영가복 태워드리기

1. 봉안당 안치 후
영가복(옷)을 태워드리면 좋다고 하여

저고리, 바지(저고리 색과 동일하게 맞출 것), 속옷, 양말(여자는 버선), 종이 신발을 구입해
마당에서 태워드림.
※ 라이터, 신문지, 1L 물 준비 후 태우기.



 
 

다음 포스팅으로 추천해요!

전라남도 납골당 비용 한눈에 비교

✔️ 납골당 뜻 (납골당 봉안당 차이) 시신을 화장해 남은 유골(뼛가루)들을 유골함에 담아 모아 놓은 곳으로 ‘납골당’은 과거 일본식 표현이고, 현재는 ‘봉안당’이라고 부르고 있으니 ‘납

worldnews.tistory.com

 
 
 

 

놀러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

 

반응형